소학_제2편 인간의 길 [명륜(明倫)]_하나. 부모와 자식의 관계[明父子之親]
공자의 제자인 자로는 집이 몹시 가난하여 백리 밖에까지 가서 쌀을 져다가 부모를 섬겼다.
1. 아침 문안 인사
...
부모가 출입할 때에는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공손하게 부축한다.
...
얼굴빛을 부드럽게 해서 부모의 뜻을 받들며,
...
<예기-내칙>
5. 밖에서 돌아오면 얼굴을 보여라.
...
밖에 다니는 곳은 반드시 일정한 곳이 있어야 하고, 배우는 것은 반드시 일정한 학업이 있어야 하고, 평상시에 자신이 늙었다는 말을 해서는 안 된다. <예기-곡례>
6. 사랑하는 마음은 절로 드러난다.
부모를 깊이 사랑하는 효자는 온화한 기운이 있다. 온화한 기운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즐거워하는 기색이 있으며, 즐거운 기색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유순한 용모를 가진다.
...
<예기-제의>
7. 높은 산과 깊은 물에는 가지 말라.
...
부모가 말하기 전에 부모의 뜻을 알아야 하며, 부모의 생각이 얼굴에 나타나기 전에 그 뜻을 보아야 한다. 또한 높은 곳에 올라가지 않으며, 깊은 물에 들어가지 않으며, 구차하게 남을 비방하거나 웃지 말아야 한다. <예기>
9. 목숨을 건 일은 하지 말라.
부모가 살아 계실 때에는 벗에게 목숨 거는 일을 허락해서는 안 된다. <예기-곡례>
10. 몸은 부모의 유산
부모가 살아 계실 때는 자신의 몸을 자기 마음대로 하지 않으며,
...
<예기-방기>
15. 부모가 부르면 밥도 뱉고 간다.
...
손에 일감을 잡고 있으면 던져버리고, 입에 음식을 씹고 있으면 뱉어버리고 가야 한다.
...
<예기-옥조>
18. 늙은 부모를 모시는 방법
효자가 늙은 부모를 봉양하는 방법은 부모의 마음을 즐겁게 하며, 부모의 뜻을 어기지 않으며, 부모의 귀와 눈을 즐겁게 해드리며, 부모의 잠자리와 계시는 곳을 편안하게 하며, 맛있는 음식으로 정성껏 받드는 것이다.
...
<예기-내칙>
24. 부모의 병환
...
고기를 먹더라도 입맛이 변할 정도로 먹지 않으며, 술을 마시더라도 얼굴빛이 변할 정도로 먹지 않는다. 또한 잇몸이 보일 정도로 크게 웃지 않으며, 화를 내더라도 소리쳐 남을 꾸짖지 않는다.
...
<예기-곡례>
34. 천자의 효와 백성의 효
...
부모를 사랑하는 자는 감히 남을 미워하지 않고, 부모를 공경하는 자는 감히 남에게 함부로 대하지 않는다.
...
<효경>
35. 패덕과 패례
...
그러므로 자신의 부모를 사랑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을 ‘도리에 어긋난 덕’[패덕(悖德)]이라 하고, 자신의 부모를 공경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공경하는 것을 ‘도리에 어긋난 예’[패례(悖禮)]라고 한다. <효경>
37. 다섯 가지 불효
세상에서 ‘불효’라고 말하는 것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 일을 게을리 해서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것이 첫 번째이며, 바둑이나 장기를 탐닉하고 술을 좋아해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것이 두 번째이며, 재물을 좋아하고 자신의 아내와 자식만을 사랑해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것이 세 번째이며, 감각적인 욕망을 추구해 부모를 수치스럽게 하는 것이 네 번째이며, 힘을 믿고 싸움을 일삼아 부모를 위태롭게 하는 것이 다섯 번째이다. <맹자-이루하>